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에 창단되었으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국가 최초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국제 대회 참가 기회가 줄었으나,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AFC 챌린지컵에서 2회 우승, 아시안 게임에서 1회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는 3위를 여러 차례 기록했다.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최종 예선에 진출했고, 2027년 아시안컵 출전권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9년 국제 무대 데뷔 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 주요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도핑 문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 FIFA 랭킹 10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시안 게임 은메달(2014), 동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2013), AFC U-23 아시안컵 8강(2016)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는 1945년 설립되어 AFC, FIFA, EAFF에 가입한 북한의 축구 행정 기관으로, 리그 시스템 운영 및 유소년 육성에 힘쓰고 있으며, 남녀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에서 입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9년 국제 무대 데뷔 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 주요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도핑 문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 FIFA 랭킹 10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에 관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는 1945년 설립되어 AFC, FIFA, EAFF에 가입한 북한의 축구 행정 기관으로, 리그 시스템 운영 및 유소년 육성에 힘쓰고 있으며, 남녀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에서 입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에 관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9년 국제 무대 데뷔 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 주요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도핑 문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 FIFA 랭킹 10위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엠블럼
정식 명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종합팀
문화어 표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종합팀
한자 표기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國家綜合팀
로마자 표기Joseon Minjujuui Inmin Gonghwaguk Gukga Jonghap Tim
다른 명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종합팀
별칭천리마
동아시아의 삼바
붉은 번개
축구 협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홈 경기장김일성 경기장
FIFA 코드PRK
FIFA 랭킹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FIFA 최고 랭킹57위
FIFA 최고 랭킹 날짜1993년 11월
FIFA 최저 랭킹181위
FIFA 최저 랭킹 날짜1998년 10월 – 11월
Elo 랭킹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Elo 최고 랭킹10위
Elo 최고 랭킹 날짜1970년 1월
Elo 최저 랭킹131위
Elo 최저 랭킹 날짜2019년 6월
기술 및 선수
감독신영남
주장장국철
최다 출장 선수리명국 (118)
최다 득점 선수정일관 (31)
유니폼
홈 유니폼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원정 유니폼상의: 하얀색
하의: 하얀색
양말: 하얀색
첫 경기 및 최대 승/패
첫 국제 경기중국 0–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56년 10월 7일, 베이징)
최다 점수차 승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1–0 괌 (2005년 3월 11일, 타이베이)
최다 점수차 패배포르투갈 7–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0년 6월 21일, 케이프타운)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2회
첫 월드컵 출전1966년
월드컵 최고 성적8강 (1966년)
AFC 아시안컵
아시안컵 출전 횟수6회
첫 아시안컵 출전1980년
아시안컵 최고 성적4위 (1980년)
AFC 챌린지컵
챌린지컵 출전 횟수3회
첫 챌린지컵 출전2008년
챌린지컵 최고 성적우승 (2010년, 2012년)
EAFF E-1 챔피언십
E-1 챔피언십 출전 횟수4회
첫 E-1 챔피언십 출전2005년
E-1 챔피언십 최고 성적3위 (2005년, 2015년)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금메달1978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1990년
AFC 챌린지컵
AFC 챌린지컵 우승2012년
2010년
AFC 챌린지컵 동메달2008년
EAFF 챔피언십
EAFF 챔피언십 동메달2005년
2015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아시아 경기 대회 은메달1993년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협회는 1945년에 설립되었으며,[5] 1958년부터 국제축구연맹(FIFA)에 가맹되었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이하 북한 대표팀)의 첫 공식 경기는 1964년 3월 22일 미얀마와의 1964년 올림픽 예선 경기였다.[5]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 대표팀은 아시아 국가 최초로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조별 리그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포르투갈과의 8강전에서 3-5로 패했다.[6]

1966년 월드컵 이후 침체기를 겪었던 북한 대표팀은 1990년대 초반 다시 국제 무대에 복귀했지만,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38] 이후 고난의 행군을 비롯한 경제난 등의 이유로[36][40] 국제 경기에 불참하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 다시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북한 대표팀은 대한민국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며 44년 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41] 본선에서는 브라질에 1-2로 석패하고, 포르투갈코트디부아르에 패하며 3전 전패로 탈락했다.[41]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도중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참가를 포기했고,[12][13][14]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해 국제 대회에 복귀했다. 일본과의 홈 경기는 북한 측 요청으로 취소되어 몰수패 처리되었으나,[47] 시리아미얀마를 꺾고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2. 1. 초기 역사 (1945년 ~ 196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협회는 1945년에 설립되었다.[5] 1954년 아시아축구연맹(AFC)에 가입했으며, 1958년부터 FIFA에 가맹되었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공식 경기는 1964년 3월 22일 양곤에서 미얀마와의 1964년 올림픽 예선 경기로, 0-0 무승부로 끝났다.[5] 2차전에서 미얀마를 이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별명 '천리마')은 다음 라운드에서 태국과 경기하여 합계 7-0으로 승리했다.[5] 그러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GANEFO에 참가한 선수들의 출전을 금지하면서(국가대표팀 선수들 중 일부가 GANEFO 참가) 최종 라운드 진출이 좌절되었다.[5]

1965년, 대표팀은 GANEFO에 다시 참가했고, 처음으로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다.[6] FIFA는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국가들을 단일 예선 조에 배정하여 한 팀만 본선에 진출하도록 결정했다.[6] 아프리카 국가들이 반발하며 불참했고, 결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오스트레일리아만 남았다.[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경기(6-1, 3-1) 모두 승리하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본선 진출은 개최국 영국에 외교적 문제를 일으켰다.[6] 한국 전쟁 이후 영국은 평양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게양이나 국가 연주를 허용하지 않았다.[6] 이 문제는 대회 시작 전 부분적으로만 해결되어, 국기는 게양되었지만 국가는 연주되지 않았다.[6]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련, 이탈리아, 칠레와 함께 4조에 편성되었다.[6] 소련에 패했지만 칠레와는 1-1 무승부를 거두었고(박승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월드컵 첫 골 기록), 이탈리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박두익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아시아 최초로 월드컵 8강에 진출했다.[6]

8강전에서 포르투갈을 만나 박승진, 양승국, 리동운의 골로 3-0으로 앞섰지만, 우세비우에게 4골, 호세 아우구스토에게 1골을 허용하며 5-3으로 패했다.[6]

1959년 1월 19일 대표팀이 창단되었고, 같은 날 중앙체육관에서 첫 훈련을 실시했다.[28] 1960년 11월 자국에 초청한 소련 클럽팀을 꺾은 것이 첫 번째 큰 성과였다.[28] 1961년 9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2-1로 이겼다.[28]

1963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GANEFO(신흥국 경기 대회) 결승에서 이집트(아랍연합)와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동전 던지기로 이집트가 우승했다.[29][30] 1964년 GANEFO에서는 결승에서 중국을 꺾고 우승했다.[29]

1964년 도쿄 올림픽 예선을 통과했지만, GANEFO 참가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 자격 정지 문제에 반발하여 모든 종목에서 보이콧했다.[28]

2. 2. 1966년 FIFA 월드컵 8강 신화 (1966년)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시아 국가 최초로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소련, 이탈리아, 칠레와 같은 조에 편성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련과의 첫 경기에서 패했지만, 칠레와는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특히 이탈리아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박두익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6] 이는 아시아 국가가 월드컵 8강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였다.[6]

8강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포르투갈을 만나 경기 시작 25분 만에 박승진, 양승국, 리동운의 골로 3-0으로 앞서 나갔다. 그러나 우제비우에게 4골을 허용하는 등 결국 3-5로 역전패했다.[6]

이후, 1966년 대표팀 선수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그들의 인생 게임''이 제작되어 영국 왕립 텔레비전 협회로부터 최우수 스포츠 다큐멘터리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예선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29] 본선 조별 리그에서는 소비에트 연방에 패했지만, 칠레와 무승부를 기록하고, 이탈리아를 1-0으로 꺾으며 아시아 최초로 8강에 진출했다.[31] 8강전에서는 포르투갈에 3-5로 패했다. 박두익은 "공격만 알았다"며 당시 경험 부족을 회고했다.[28]

2. 3. 침체기와 재도약 (1967년 ~ 1992년)

1966년 FIFA 월드컵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침체기와 재도약의 시기를 겪었다. 1992년 1992년 AFC 아시안컵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며 활기를 되찾는 듯했으나,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한국일본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38] 이후 북한은 1998년까지 대부분의 국제 경기에 불참했다.[39]

북한 축구협회 관계자는 김정일 총서기가 한국과 일본에 패한 것에 격분하여 대외 경기 참가를 금지했다고 증언했다.[39] 그러나 탈북자 출신 축구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는 경제적 요인, 특히 '고난의 행군'이라 불리는 경제난이 국제 경기 불참의 주된 이유였다고 한다.[36] 북한 축구협회 부회장 리강헌은 국가 재정 위기로 인해 유소년 육성에 집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40]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04년부터 각 연령대 아시아 유소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해외 클럽에서 활약하는 선수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2. 4. 국제무대 복귀와 좌절 (1993년 ~ 2009년)

1994년 미국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국과 J리그 출범 등으로 기세가 오르던 일본에 패했다. 1993년에는 헝가리 출신의 체르나이 파르 감독을 맞이했지만,[38]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1996년 AFC 아시안컵이나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예선 등 공식 경기를 포함하여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모든 국제 경기에 참가하지 않았다(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부터 복귀).[39]

국제 경기에 불참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었다. 국내 기근이나 자연재해, 김일성 주석 사망 등이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중국 축구 전문지에서 북한 대표팀 관계자는 "일한(日韓)에 패한 것에 격분한 김정일 총서기가 대외 경기 금지를 지시했기 때문이다"라고 증언하기도 했다.[39]

그러나 최근에는 경제적 요인(고난의 행군)이 더 큰 이유로 여겨지고 있다. 탈북자 출신 축구 관계자와 친분이 있는 한국의 축구 기자 김기덕에 따르면, 경기력 저하로 국제 경기를 금지했다는 것은 이차적인 이유이며, 실제로는 경제적 요인이 컸다고 한다.[3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협회 부회장 리강헌은 "국가 재정 위기로 강화비가 제한되었기에, 협회 내 논의 결과 그 강화비의 대부분을 유소년 육성에 투입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40]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까지 국제 경기 수는 이전과 비교해 현저히 줄었다. 하지만 유소년 육성에 집중한 결과, 2004년부터 각 연령대 아시아 유소년 대회에서 우승이나 준우승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선수들의 기량이 향상되어 해외 클럽에서 활약하는 선수들도 등장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1차 예선에서 UAE를 꺾고 최종 예선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의 제재로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참가가 금지되었지만, 김정훈 감독이 이끄는 북한 대표팀은 2008년 AFC 챌린지컵에 참가하여 3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3·4위전에서 미얀마를 4-0으로 크게 이겼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몽골을 가볍게 물리치고, 3차 예선과 4차 예선에서 모두 대한민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2번째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특히 대한민국과의 외교적 마찰로 인해 두 경기는 중국으로 장소를 옮겨 치러야 했다. 연말에는 홍콩을 꺾고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했지만, 최종 라운드에서는 일본, 대한민국, 중국에 밀려 최하위를 기록했다.

월드컵을 앞두고 북한 대표팀은 프랑스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하며 유럽식 플레이에 적응하고자 했다. 이 기간 동안 FC 낭트, 콩고와 친선경기를 치렀다.

2010년 초, 북한은 2010년 AFC 챌린지컵에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하며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이는 남성 국가대표팀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이었다. 같은 해 2월에는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지만, 홍콩에 골득실 차로 밀려 최종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

2. 5.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과 이후 (2010년 ~ 현재)

2010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정대세 등 해외파 선수들의 활약으로 44년 만에 이루어졌다. 조별 리그 첫 경기인 브라질전에서는 1-2로 패했지만, 강호 브라질을 상대로 선전하여 주목받았다. 조선중앙텔레비전은 사상 최초로 포르투갈과의 조별 리그 두 번째 경기를 생중계했으나, 0-7로 대패하며 조별 리그 탈락이 확정되었다.[41] 코트디부아르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도 0-3으로 패하며 3전 전패, 골득실 -11(1득점 12실점)로 대회를 마감했다.

귀국 후, 선수단은 경기 결과에 대해 6시간 동안 심사를 받았고, 김정훈 감독은 강제 노동형을 선고받았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국제축구연맹(FIFA) 조사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43]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1무 2패, 무득점(2실점)으로 탈락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3차 예선에서는 일본과의 홈 경기에서 승리하는 등 선전했지만, 2승 1무 3패(승점 7)로 조 3위에 그쳐 탈락했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조 2위로 최종전을 맞았으나, 필리핀에게 2-3으로 역전패하며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차 예선에서는 대한민국과의 홈 경기가 평양에서 무관중으로 치러졌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북한은 예선 참가를 포기했고, 2023년 AFC 아시안컵 출전도 불발되었다.[12][13][14]

2026년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차 예선에서 북한은 국제 대회에 복귀했다. 일본과의 홈 경기는 북한 측 요청으로 취소되었고, 몰수 게임으로 처리되어 0-3 패배로 결정되었다. 이후 시리아미얀마를 꺾고 3회 대회 만에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 홈 경기는 안전 문제로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리게 되었다.

최종 예선에서는 이란,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키르기스스탄과 A조에 편성되었다.[47] 전반기 5경기에서 2무 3패를 기록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국가 최초로 8강에 진출했고, 1980년 AFC 아시안컵에서 4위를 차지했다. 2010년 FIFA 월드컵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모두 3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년 AFC 챌린지컵2012년 AFC 챌린지컵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대한민국과 공동 우승으로 금메달을, 1990년 아시안 게임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심판 판정에 불만을 품고 난동을 부려 FIFA로부터 2년간 국제대회 출전 금지 징계를 받았다.[60]

3. 1.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본선에는 2번 참가하여 이 가운데 첫 출전한 1966년 대회에서 아시아 국가 최초로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키며 대한민국2002년에 4강 신화를 이루기 전 아시아 국가의 월드컵 최고 성적을 남겼으나 44년만에 출전한 2010년 대회에서는 3전 전패·G조 꼴찌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57]

FIFA 월드컵 기록width="1%" rowspan="28" |예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대표팀경기득점실점
1930일본 소속일본 소속
1934
1938
1950FIFA 회원국이 아님FIFA 회원국이 아님
1954
1958
1962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19668강8위411259명단220092
1970기권기권
1974예선 탈락613255
1978기권기권
1982예선 탈락421166
1986412132
199011524139
1994138142418
1998참가하지 않음참가하지 않음
2002
2006예선 탈락124261616
2010조별리그32위3003112명단16862207
2014예선 탈락621334
20188512148
2022기권기권
2026예선 진행 중123271616
2030미정미정
2034
합계71156219441213212993



2024년 6월 11일, 북한은 2010년 이후 처음으로 FIFA 월드컵 예선 최종 예선에 진출했고, 2023년 대회에 출전하지 못한 이후 2027년 아시안컵에도 출전권을 획득했다.

3. 2. AFC 아시안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AFC 아시안컵 본선에 5번 출전했다. 1980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며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후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특히 2019년 대회에서는 3전 전패로 대회 꼴찌를 기록하는 최악의 성적을 냈다.[55] 2027년 AFC 아시안컵에는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804위4위63031012
1992조별 리그8위301225
2011조별 리그12위301202
2015조별 리그14위300327
2019조별 리그24위3003114
2027진출 확정
합계4위6/181832131540



자세한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AFC 아시안컵 성적 문서를 참조하라.

3. 3. AFC 챌린지컵

AFC 챌린지컵 본선에는 3번 출전하여 2번의 대회(2010년, 2012년)에서 연속 우승을 거머쥐면서 2011년 AFC 아시안컵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티켓을 획득했으나 2014년 대회에서는 불참을 선언했다.[56]

개최 연도결과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2006불참
20083위540191
2010우승5320142
2012우승5500121
2014불참
합계3/5151221354


3. 4. 아시안 게임

성인대표팀으로는 5번 참가하여 이 중 1978년 대회에서 대한민국과 함께 공동 우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0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따냈다. U-23 대표팀으로도 역시 5번 출전하여 2014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다만 성인대표팀 시절이던 1982년 대회에서는 쿠웨이트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후 편파 판정에 불만을 품고 태국인 주심을 폭행하는 등 최악의 난동 사태를 일으키며 실격 처리가 된 것은 물론 FIFA로부터 2년간 모든 국제 대회 출전 금지의 중징계를 받았다.[60]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승점
1951년불참(한국 전쟁)
1954년불참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준결승4위731311810
1978년금메달우승*642012314
1982년대회 도중 실격준결승5221968
1986년불참
1990년은메달준우승5131226
1994년불참
1998년16강13위4121685
23세 이하 대표팀 경기로 규칙 변경
합계5회 출전(5/13)우승(1회)2811107402943


  • 공동 우승을 나타낸다.

3. 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EAFF E-1영어 풋볼 챔피언십에는 전신인 다이너스티컵을 포함해 6번 출전하여 4번의 대회에서는 3위, 2번의 대회에서는 최하위인 4위에 머물렀고 결승 리그 통산 18경기에서 3승 7무 8패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이 중 3승을 모두 일본을 상대로 거두었다.[1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기록style="width:1%;" rowspan=3|예선 라운드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명단경기득점실점
2003기권기권
20053위3위311112명단4400310
20084위4위302135명단2200141
2010예선 탈락3210113
20134310162
20153위3위311123명단321072
20174위4위301213명단330050
2019예선 탈락321061
2022불참개최되지 않음
2025기권기권
합계3위4/1012255713221840909


참조

[1] 웹사이트 Inside the Secret World of Football in North Korea http://bleacherrepor[...] 2017-12-12
[2] 웹사이트 North Korea https://www.eloratin[...]
[3] 웹사이트 North Korea matches, ratings and points exchanged http://www.elorating[...]
[4] 뉴스 Korea DPR https://www.fifa.com[...] FIFA
[5] 뉴스 REVERSAL SOUGHT IN GAMES DISPUTE; Olympic Croup Hopes to Get Ban on 2 Nations Lifted https://www.nytimes.[...] 1964-09-19
[6] 서적 The theft of the Jules Rimet Trophy : the hidden history of the 1966 World Cup https://books.google[...] Meyer & Meyer Sport 2008
[7] 웹사이트 2010: Group G: Brazil/North Korea/Ivory Coast/Portugal http://sportsillustr[...] Sports Illustrated
[8] 웹사이트 How North Korea took Spain's 2010 World Cup triumph and handed it to Portugal https://www.marca.co[...] 2017-06-12
[9] 웹사이트 Inside the world's most secretive soccer team https://www.cnn.com/[...] 2024-06-12
[10] 웹사이트 North Korean soccer team reportedly punished https://www.latimes.[...] 2010-08-13
[11] 웹사이트 Tensions run high for Japan v North Korea World Cup qualifier https://www.theguard[...] 2011-11-15
[12] 뉴스 South Korea: North Koreans pull out of World Cup qualifying https://apnews.com/a[...] AP News 2021-05-04
[13] 웹사이트 Latest update on Asian Qualifiers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1-05-16
[14] 웹사이트 Latest decision on Asian Qualifiers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1-05-27
[15] 웹사이트 NK resumes sports diplomacy to brand itself as 'normal state' https://www.koreatim[...] 2023-08-10
[16] 뉴스 Home-made Football Popular among DPRK People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4-07-01
[17] 웹사이트 多年"裸奔"结束,茵浪体育让朝鲜国家足球队有了官方赞助商 https://www.dongqiud[...] Dongqiudi 2024-01-26
[18] 웹사이트 https://mainichi.jp/[...]
[19] 뉴스 Update on Korea DPR v Japan World Cup qualifying match https://www.fifa.com[...] 2024-03-23
[20] 뉴스 FIFA規律委員会の決定について 3.26 SAMURAI BLUE 対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代表(平壌)~FIFAワールドカップ26アジア2次予選 兼 AFCアジアカップサウジアラビア2027予選~ https://www.jfa.jp/s[...] 2024-03-31
[21] 웹사이트 World Cup qualifier in North Korea scrapped again; DPRK to face Syria in Laos https://www.nknews.o[...] 2024-05-20
[22] 웹사이트 North Korea moves World Cup qualifier from Pyongyang due to 'security concerns' https://www.nknews.o[...] 2024-08-16
[23] 웹사이트 North Kore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4] 웹사이트 Nehru Cup 1993 https://www.rsssf.or[...] 2006-01-01
[25] 웹사이트 DPR KOREA LIFT HERO INTERCONTINENTAL CUP 2019 TITLE https://www.the-aiff[...] AIFF 2019-07-19
[26] 웹사이트 「めちゃくちゃ純粋で、めっちゃ良い奴ら」鄭大世が北朝鮮代表の内情を明かす。44年ぶりのW杯出場、ブラジル戦で感じたのは? https://www.soccerdi[...]
[27] 웹사이트 「めちゃくちゃ純粋で、めっちゃ良い奴ら」鄭大世が北朝鮮代表の内情を明かす。44年ぶりのW杯出場、ブラジル戦で感じたのは? https://www.soccerdi[...]
[28] 간행물 ベスト8の以前・以後 ~66年の北朝鮮代表選手を追って~ 双葉社 2005
[29] 웹사이트 North Korea International Matches 1963-2000 http://www.rsssf.com[...] RSSSF 2010-03-25
[30] 웹사이트 http://www.rsssf.com[...]
[31] 서적 [サッカー]がもっとわかる本 河出書房新社 1998
[32] 서적 サッカーマルチ大事典改訂版 2006
[33] 서적 世界サッカー紀行2002 2002
[34] 웹사이트 【五輪体操】勝てば豪邸暮らし だが、負ければ強制収容所でゴキブリを食べ… 「(金正恩)指導者に勝利を届けられて…」というメダリストの発言の真意とは?(1/3ページ) - 産経ニュース 2022-02-10
[35] 웹사이트 北朝鮮、本当に「謎」ですか? https://megalodon.jp[...] Number Web 2007-12-28
[36] 간행물 Q&Aで知る北朝鮮サッカー基礎知識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37] 간행물 北朝鮮サッカー 「イングランド遺産」の果てに 「1966」に縛られて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38] 웹사이트 http://www.rsssf.com[...]
[39] 웹사이트 サッカー北朝鮮代表「4・25隊」、中国関係者が報告 https://web.archive.[...] YOMIURI ON-LINE 2004-12-30
[40] 웹사이트 北朝鮮「44年前の奇跡をもう一度」 http://number.bunshu[...] スポーツ・グラフィック ナンバー
[41] 웹사이트 コラム 北朝鮮サッカーの善戦を願うワケ(上) https://megalodon.jp[...] 朝鮮日報 2010-06-25
[42] 웹사이트 北のポルトガル戦は4失点目で生中継を中断、試合途中で負け宣言 http://news.searchin[...] サーチナ 2010-06-23
[43] 웹사이트 FIFA、北朝鮮代表チームへの処罰疑惑を否定 http://jp.reuters.co[...] ロイター 2010-08-26
[44] 블로그 北朝鮮ネタのフリー素材ぶりがすごい http://blog.livedoor[...] 2014-03-03
[45] 웹사이트 北朝鮮サッカー、その脅威の背景 http://www.asiawatch[...] アジア・ウオッチ・ネットワーク 2015-12-09
[46] 웹사이트 E-1選手権の日本開催が決定! 中国政府の「ゼロコロナ政策」によって開催地変更に https://soccermagazi[...] 2022-04-19
[47] 웹사이트 北中米W杯・アジア最終予選の組み合わせが決定! 日本代表、オーストラリアやサウジアラビアらと激突 https://www.soccer-k[...] 2024-06-27
[48] 웹사이트 ウズベクが2連勝、韓国初勝利 北朝鮮はカタールと引き分け サッカーW杯最終予選 https://www.sankei.c[...] 2024-09-11
[49] 웹사이트 UAEはホームでW杯最終予選2勝目ならず。意地を見せた北朝鮮、10番が痛恨のPK失敗も土壇場弾で1-1ドローに持ち込む(SOCCER DIGEST Web) https://news.yahoo.c[...]
[50] 웹사이트 「メッシ以上の選手育成」が目標、北朝鮮唯一のサッカーアカデミー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6-11-25
[51] 웹사이트 北朝鮮サッカー、その脅威の背景 https://web.archive.[...] アジア・ウオッチ・ネットワーク 2015-12-09
[52] 웹사이트 北朝鮮サッカー代表の強さの背景・・・育成施設と国家選抜制について中国メディアが特集 https://web.archive.[...] searchina 2015-12-21
[53] 웹사이트 北朝鮮の知られざる「エリート育成法」とは? セリエAで初ゴールを奪うFWも!P3 http://www.soccerdig[...] soccerdigestweb 2017-12-11
[54] 웹사이트 北朝鮮サッカーの“衝撃の練習環境”!「平日は代表、週末はクラブ…」P2 https://web.archive.[...] soccerdigestweb 2017-12-11
[55] 문서 AFCチャレンジカップ2010 우승으로 본선 진출
[56] 웹사이트 Northern Mariana debuts in Challenge Cup http://www.the-afc.c[...] 아시아축구연맹 2012-09-14
[57]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
[58] 문서 1988년 서울 올림픽까지의 기록 (이후 기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참고)
[59]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당시)
[60] 문서 1998년 아시안 게임까지의 기록 (이후 기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참고)
[61] 웹사이트 아시안컵 북한대표팀 사령탑에 조동섭 감독 https://sports.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